-
반응형
개발에 있어 메모리는 자료구조/알고리즘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고려사항이다.
메모리 접근방식은 순차접근과 임의접근이 존재한다.

현대에는 효율성 측면에서 임의 접근을 사용한다. RAM 내부 구조도 임의접근을 위해 설계되어있음.
주소를 알면, 해당 주소로 바로 점프가 가능

이전 글에서 다뤘던
control bus, address bus, data bus에 대한 부분을 여기서 자세히 다룬다.
address와 data가 따로 분기되어있고, 동작을 위한 control bus로 구성되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 CPU가 데이터를 요청하면,
2. Control bus가 보낼건지, 받을건지 결정하고
3. RAM이 어느 주소에 있는 데이터를 보내주거나, 어느 주소에 지금 보낼 데이터를 RAM에 저장함.
C언어를 학습할때 포인터에서 많이 닷지하게 되는데,
이때 address bus의 개념을 이해한다면 개념 확립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요즘 나오는 언어는 포인터가 없이 나오는 편인데,
하드웨어 제어에 있어서는 직접 포인터 제어하는게 성능 면에서 유리하다.
반응형'Computer 기본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의 기본 구조 (0) 2021.11.15 현대 컴퓨터 구조 (0) 2021.11.14 컴퓨터가 2진수를 사용하는 이유 (0) 2021.11.13
